
1.천장에서 물인 샌다 연락이 옴
포천빗물누수 천장에서 새는 물 원인을
찾아 해결을 하고 돌아왔습니다.
누수탐지 필요한 경우 보통 오래 된
건물일 경우라 생각을 합니다.
이번에 누수탐지를 하게 된 건물은
건축이 된지 비교적 오래 되지
않은 건물입니다.
시공하는 과정에서 마감이 꼼꼼히
되지 못한다면 건물이 오래 되지 않아도
누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타 업체에서는 누수를
일으킬 만한 틈을 찾아 실리콘
시공을 하곤 합니다.
하지만 실리콘 시공은 완전한
해결책이 되지 못함을 알려드립니다.
누수탐지는 물이 새는 그 지점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이 흘러 나온 곳이 천장일 수 있지만
누수를 일으키는 곳은 창문,
건물 옥상, 외벽 등 다양합니다.
그러니 단순이 물이 새어 나오는 곳이
누수가 일어나는 지점일 수도 있지만
아닌 경우도 있으니 물이 고인 곳이
누수가 일어나는 지점이라 생각하면 안됩니다.
우선 현장을 둘러 보아
물이 새는 곳을 확인합니다.
물이 흐르는 통로를 찾아 이 물이
어느곳에서부터 흘러나오는지
그 지점을 찾게 되었습니다.
확인을 해보니 베란다에 연결이 된
외부 창문에서 물이 스며드는 게
확인이 되었습니다.
2. 창틀과 외벽사이 틈이 생긴 것이 원인
자세히 살펴보니 창틀과 건물 외벽 사이
마감을 했던 자제가 눈에 들어 왔습니다.
손으로 파보니 단열을 위해 덧대 였던
스티로폼과 시멘트이 섞어 나오는 걸
확인해 볼 수 있었습니다.
마감이 불안정한 상태가 되니
시간이 지나며 빗물이 닿고
마감재가 약해지며 자재가
떨어져 나오게 된 것 같습니다.
그 사이 틈이 생겨 그 곳으로
빗물이 스며들게 된 것입니다.
이 물이 흘러 들어가 천장에서
물이 새는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 것입니다.
포천빗물누수 원인을 찾았으니
이제 해결을 해야 합니다.
보통 이런 경우 업체에서는
실리콘으로 창틀을 다시
한번 마감하려 할 것입니다.
틈을 실리콘으로 메꾸게 되면
당장은 물이 새어 들어오진 못할 것입니다.
하지만 실리콘은 시간이 지나면
다시 그 틈이 벌어 질 수 있으니
완벽한 해결책이 되지 못합니다.
누수탐지 결과 창틀과 외벽 사이
마감재가 떨어져 틈이 벌어진 것이니
그 틈을 우레탄 폼을 이용하여 매꾸는
작업을 먼저 진행합니다.
우레탄 폼은 좁은 공간에 들어가
부피가 커지게 됨으로 틈이
벌어지지 않고 단단히 틈을
막을 수 있는 좋은 재료 입니다.
벌어진 틈을 메꾸게 된다면
빗물은 물론 찬공기도 막을 수 있어
단열에도 좋은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이후 단열과 시멘트로 다시 한번
외벽 마무리를 해 보게 되었습니다.
포천빗물누수 누수탐지 보다
완벽한 누수시공으로 다시 물이
천장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잘 마무리 해드리게 되었습니다.
계속 읽기